북한이 사용했던 플래시 취약점, 다른 해커들도 악용 시작

보안/최신뉴스 2018. 2. 28. 00:36

주요내용 : 어도비 플래시 취약점은 UaF(use-after-free)라고 불리는 버그로, 

누군가 원격에서 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고 어도비는 발표했다.

 북한이 특정 남한 조직 및 인사를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실시할 때 이 취약점을

 활용한 것으로 유명하다. 한국의 CERT 팀은 2월 초 플래시 플레이어 액티브엑스 

28.0.0.137 및 그 이전 버전에서 CVE-2018-4878 취약점이 익스플로잇 되고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.


출처 : http://www.boannews.com/media/view.asp?idx=67105&page=1&mkind=1&kind=1

설정

트랙백

댓글

올해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한 지능적인 멀웨어 공격 증가

보안/최신뉴스 2018. 2. 27. 00:35

주요내용 : 이번 보고서에서 시스코는 공격자들이 명령 및 제어(C&C)를 

숨기기 위해 클라우드 암호화를 이용하는 등 멀웨어 공격이 더욱 정교해지고 

있다고 경고했다. 보안 전문가들은 이 같은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(AI) 

및 머신 러닝 기술에 대한 투자가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.


전산화의 기능의 발달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더욱더 많이 이용률이 높아지고 있다. 

그래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공격이 증가가 되고 있는게 아닌가 싶다.


출처 : http://www.boannews.com/media/view.asp?idx=67076&page=1&mkind=1&kind=3

설정

트랙백

댓글

[카드뉴스] 왕초보 용어 풀이, 웨일링 공격이란?

보안/최신뉴스 2018. 2. 26. 06:00

주요내용 : 웨일링(Whaling) 공격은 스피어 피싱(Spear Phishing)의 한 종류입니다. 


스피어 피싱은 피싱 중에서도 특정한 누군가를 노린 노린 공격입니다. 공격 타깃의 업무와

평소 커뮤니케이션 상대를 얌전히 지켜보다가 적정한 타이밍에 ‘그’가 좋아할 만한 미끼를 던져 낚는 방식이죠. 


출처 : http://www.boannews.com/media/view.asp?idx=67036&page=1&mkind=1&kind=1

설정

트랙백

댓글

공포의 인형 애나벨 테마로 한 랜섬웨어 등장

보안/최신뉴스 2018. 2. 23. 00:00
주요내용 : 공포영화에서 힌트를 얻은 ‘애나벨 랜섬웨어’로 공격자의 목적은 돈을 버는 것이 
아니라 자신의 해킹 및 멀웨어 제작 실력을 자랑하는 것이라고 한다.

애나벨 랜섬웨어를 최초로 보도한 외신 블리핑 컴퓨터(Bleeping Computer)에 의하면 
이 공포스러운 랜섬웨어는 아예 시스템을 망가트리는 것 자체를 목적으로 한다. 
1) 여러 보안 프로그램을 종료시키고, 2) 윈도우 디펜더마저 비활성화시키며, 3) 방화벽도 끄고,
 4) 파일을 암호화 한 후, 5) USB 드라이브까지도 감염시켜 사실상 아무런 프로그램도 
돌아가지 못하도록 한다. 게다가 6) 마스터 부트 레코드(MBR)까지 가짜 부트 로더로 
덮어쓰기 해버린다. 한 마디로 가지가지 종합세트.





설정

트랙백

댓글

리눅스에 edb 설치하기!!

기초/어셈블리어 2018. 2. 22. 22:53



윈도우에서 디버거 파일로는 올리디버거 파일이 유명한데, 리눅스에서는 올리디버거를 사용할 수가 없다.

그래서 리눅스에서 비슷한 프로그램인 edb 프로그램이 있는데, 이것을 설치해서 사용을 하면 된다.


[edb 설치하기 - 우분투 환경]


먼저 edb를 설치하기 전에 필요한 것 먼저 설치를 한다. (터미널에서 아래의 명령어를 따라하면 된다.)


1.  $ sudo apt-get install libqt4-dev

2. $ sudo apt-get qt4-qmake

3. $ sudo apt-get libboost-all-dev


이 명령어를 다 설치하고, edb를 설치한다.

- edb를 다운 받을 때 root로 로그인해서 /usr/local/src 디렉토리로 가서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시켜준다.


2) edb 파일 다운로드(Download EDB)
$ wget www.codef00.com/projects/debugger-0.9.20.tgz

(위의 버전은 낮은 버전이라서 홈페이지 들어가셔서 버전 확인 후 버전의 번호를 바꾼 후 다운로드 하셔도 무방합니다.)

홈페이지 주소 : http://codef00.com/projects


3) 다운로드 받은 debugger-0.9.20.tgz 파일 압축 해제(extract tgz file)
#> tar -xvf debugger-0.9.20.tgz

4) qmake & make 를 통한 설치(excute qmake and make)
#> qmake -makefile DEFAULT_PLUGIN_PATH="/usr/lib/edb/"
#> make
#> make install or #> make INSTALL_ROOT=/usr install  (추천)  



edb를 실행 시 설치한 디렉토리에 가서 edb를 실행시켜야 한다. 





'기초 > 어셈블리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어셈블리어 시작  (0) 2017.08.31

설정

트랙백

댓글

미래가치 높은 블록체인, 장기적으로 접근해야'

보안/최신뉴스 2018. 2. 22. 08:40
주요내용 :  패널들은 공통적으로 블록체인의 미래가치를 높이 평가하며, 장기적인 관점에서 
신기술이 얼마만큼 진보할 수 있는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. 


설정

트랙백

댓글

메모리 영역

보안/기초 2018. 2. 21. 23:22

메모리 영역.pdf


설정

트랙백

댓글

멜트다운과 스펙터의 인텔, 30개 넘는 소송에 걸렸다

보안/최신뉴스 2018. 2. 21. 08:38

주요내용 : 먼저 멜트다운과 스펙터 오류가 공개되고 1주일 만에 세 건의 집단소송이 시작됐다.

 하지만 이는 시작에 불과했다. 한 달이 약간 넘은 2월 15일까지 총 32건의 소송장이 인텔을 겨냥해 법원에 제출된 것이다. 


이 32건은 인텔이 있는 미국 본토는 물론 세계 여러 나라에서 거소됐으며, 회사가 아니라 인텔의 책임자와 운영진이 직접 거론되기도 했다. 


설정

트랙백

댓글

더 똑똑해진 봇넷, ‘하이브넷’이 다가오고 있다

보안/최신뉴스 2018. 2. 20. 08:39
주요내용 : 이 기술을 착하고 선량한 사람들만 사용하는 건 아니다. 최근 보안 업체 포티넷(Fortinet)은 
‘인공지능을 갖춘’ 똑똑한 봇넷들이 아파치 스트러츠(Apache Struts) 프레임워크의 취약점을
 반복적으로 익스플로잇하는 것을 발견한 바 있다고 발표했다. 아파치 스트러츠 취약점은 작년 
에퀴팩스 사건의 핵심 요소였던 것으로, 공격자들은 이 취약점에 대한 공략을 자동화시켜버린 것이다.




설정

트랙백

댓글

평창올림픽 개막식에 파괴형 멀웨어? 누가? 러시아? 왜?

보안/최신뉴스 2018. 2. 14. 08:36
주요내용 :  러시아가 지목되는 이유 1
왜 러시아일까? 먼저 IOC가 평창올림픽에 러시아의 참가를 금지시켰기 때문에 러시아는 크게 화가 난 상태다.
 IOC가 러시아를 평창올림픽 참가를 허락하지 않은 것은 이전 올림픽에서 러시아 선수들이 불법 약을 투여했기
 때문이다. 하지만 약물 복용 전적이 없는 러시아 선수라면 개인 자격으로 올림픽 출전이 가능하다.





설정

트랙백

댓글